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세상만사] ‘눈물 한방울’

고 이어령 교수가 암 선고를 받고 2022년 88세로 별세하기 전까지 4년간 쓴 글을 모은 문집이 ‘눈물 한 방울’이다. 생전 160권의 저서를 남긴 우리 시대 최고 지성은 마지막 순간에 무슨 생각을 했을까 하는 의문으로 그 책을 정독했었다.   마지막 낙서는 누구에게 무슨 생각을 하고 있었나 보자.    “누구에게나 마지막 남은 말/사랑이라든가 무슨 별 이름이라든가 /혹은 고향 이름이라든가?/나에게 남아 있는 마지막 말은 무엇인가?/시인들이 만들어낸 말은 아닐 것이다./이 지상에 없는 말, 흙으로 된 말이 아니라/어느 맑은 영혼이 새벽 잡초에 떨어진 그런 말일 것이다./하지만 그런 말이 있는지 나는 알 수가 없다./내 몸이 바로 흙으로 빚어졌기에 /나는 그 말을 모른다./죽음이 죽는 순간/알게 될 것이다.”    책에서 전반적으로 흐르는 톤으로는 내생을 신에 기탁하며 부탁하는 논조의 말은 없다. 그 대신 어머님을 그리워하는 간절한 기구의 말은 있다. 또 53세의 젊은 나이로 갑상선암과 위암 진단을 받고 본인보다 먼저 세상을 등진 딸에 대한 그리움이 절절하다. 그의 딸 이민아씨는 이혼 후 미국에서 변호사로 일하다 말년에는 신학교에 입학해 목사가 된 사람으로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다.   어느 세미나에서 이어령 교수는 신의 사랑은 아가페적인 것이 아니라 우정을 의미하는 ‘필리아’라고 했다. 바이오필리아는 생명 간에 공생하고자 하는 의지와 사랑으로 모든 생명체는 더불어 살아가야 하는 숙명을 지닌 대상으로 그 사랑이 중요하고,  또 포토필리아는 장소에 대한 사랑으로 고향을 그리워하는 심정을 말하는 것이고, 네오필리아는 인간이 경험하지 못한 영역을 탐구하여 서로 공생하는 세상을 찾아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또 ‘메멘토모리’, 즉 우리는 죽음을 뛰어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진 운명이기에  늘 숙명처럼 죽음을 생각하고 있어야 한다고도 했다.     그는 책 서문에 인생에 대해 이렇게 썼다.  “물음표와 느낌표 사이를 쉴 새 없이 오간 게 내 인생이다. 물음표가 씨앗이라면 느낌표는 꽃이다. 품었던 수수께끼가 풀리는 순간의 희열은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다. 가장 중요한 것은 호기심을 갖는 것, 그리고 왜 그런지 그 이유를 찾아내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대목도 있다. “눈물만이 우리가 인간이란 걸 증명해준다. 이제 인간은 박쥐가 걸린 코로나도 닭이 걸린 조류인플루엔자도 걸린다. 그럼 무엇으로 짐승과 사람을 구별할 수 있을까? 눈물이다. 낙타도 코끼리도 눈물을 흘린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정서적 눈물은 사람만이 흘릴 수 있다. 로봇이 아무리 잘 만들어도 눈물을 흘리지 못한다.”   한때 이어령 교수의 책을 닥치는 대로 사서 주마간산 격으로 읽고는 책장에 모셔두는 버릇이 있었다. 삼가 그분의 명복을 빈다. 김호길 / 시인세상만사 한방울 눈물 눈물 한방울 정서적 눈물 이어령 교수

2024-02-20

마지막 대화 기록 ‘이어령 읽기’…“이어령 교수의 유언집”

‘이어령 읽기(사진)’가 민음사에서 출간됐다. 부제는 인공지능과 생명 사상 시대의 문명, 문화, 문학이다.   한국을 대표하는 지성으로 손꼽혔던 문화비평가 고 이어령(1933~2022) 선생은 영문학자이자 문학평론가인 김성곤 다트머스대학교 교수를 지적, 정신적 후계자로 정하고 생전에 자신의 마지막 생각들을 대화하며 정리해줄 사람으로 지목했다.     서문에서 이어령 선생은 “나는 학문을 한다기보다는 문학을 하고, 지식을 논한다기보다는 신바람이나 디지로그나 생명 자본처럼 개념이나 키워드를 만들어 내는 문화 비평가지요. 학자들은 기존에 나와 있는 것들을 종합해서 비판하고 정리하지만 나는 지금까지 아무도 말하지 않은 것들을 말하려고 하는 사람이에요. 내가 하려는 이야기는 내가 20대부터 80대까지 죽 생각하고 연구해온 것들이어서 떠나기 전에 그걸 남기고 싶은 겁니다”라고 밝혔다.     ‘이어령 읽기’는 김성곤 교수가 문학, 문화, 문명, 예술, 인생이라는 주제를 놓고 이어령 선생과 나눈 대화의 기록이다. 이어령 선생이 암 투병 중일 때부터 세상을 떠날 때까지 정기적으로 만나 대화한 내용을 꼼꼼하게 기록하고 정리해 완성한 이어령론이다.     김성곤 교수는 “이어령 선생님은 죽음을 앞두고 나를 부르시더니, 나를 당신의 지적, 정신적 후계자로 정했다고 하시면서 생전에 못다 한 말들을 남기려고 하니 그걸 세상에 전해달라고 부탁하셨다”며 “그런 의미에서 ‘이어령 읽기’는 이어령 교수의 유언집이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멘토와도 같았던 이어령 선생을 김성곤 교수는 국문학자의 범주를 넘어서는 탁월한 문화비평가라고 회고했다. 그는 “한국문화의 특성을 글로벌한 시각으로 바라본 독창적인 문화평론가였고, 동서양의 차이를 이해하고 연결하는 뛰어난 비교 문학자였으며, 디지로그나 생명 자본 같은 새로운 문화적 키워드를 만들어내는 창의적인 문화연구자였다”고 말했다.     이어령 선생은 죽음을 눈앞에 두고도 의연한 태도로 성찰과 혜안이 깃든 비교문화론, 인류 문명론, 동서 문학론을 펼쳤다.     김 교수는 “이어령 선생님은 하늘이 이 땅에 내려주신 축복”이라며 “그분이 계심으로 인해 한국 문화는 빛이 났고, 한국문학은 세계문학이 되었으며, 한국인이라는 것이 자랑스러워졌기 때문이다”고 밝혔다.  이은영 기자 lee.eunyoung6@koreadaily.com이어령 유언집 이어령 선생님 이어령 교수 김성곤 교수

2023-11-19

[수필] 아름다운 삶

지난 2월 26일 89세로 30여권의 책을 남기고 이어령 교수는 조용히 떠났다. 유튜브를 통해 몇 달 전 준비한 그의 따듯한 마지막 작별인사도 가슴 뭉클하게 보았다. 언젠가는 나도 우리도 모두 떠나겠지만 그는 3년의 병고를 침착하게 헤치면서 그가 지닌 지식들을 목이 마른 사람들을 위해 마지막까지 나누어 주고 갔다. 부인(강인숙 교수)과 살던 평창동 자택을 영인문학관으로 만들어 놓았다. 그는 자신 서재의 침상에 누워 몸은 비록 앙상하게 되어도 평화롭게 눈을 감았다 한다. 아이러니하게도 생전에 모른 척하던 여러 정치인들이 영전에 찾아와 애도하고 갔다고 한다.   이어령 교수는 어느 누구 못지않게 대한민국을 사랑하던 언론인, 교육자(이화여대 석좌교수), 철학자, 정치인이었다. 3년 가까이 투병하고 병석에 누워서도 아니 마지막 두어 주 전까지도 한 기자와 인터뷰를 주고 받으며 그의 구수한 인생 철학 이야기를 남겨주었다고 한다.   그의 말을 정리하던 기자는 바로 작고하기 전에도 고비를 넘겼다는 말을 듣고 따스한 봄이 오면 회복해 더 많은 이야기를 듣기를 기원했었다. 하지만 3일 전 인터뷰를 마지막으로 아쉬움을 남긴 채 세상과 이별했다.   지난 인터뷰 중에서 삼성의 이병철 회장이 생전에 물었다던 24가지 질문에 대한 이야기를 읽으면서 삶과 죽음을 생각하게 됐다.   암 투병 중이라 통증도 심했을 텐데 “그런데 말이야”라며 때로는 힘이 없어도 조용한 목소리로 말을 이어 갈 수 있었던 대단한 열정과 의지가 놀랍기만 하다. 그렇게 어렵게 금년 1월에 태어난 책이 ‘메멘토 모리’ 이다. 그의 명강의 중에는 재미있는 이야기들도 많다. 우리나라 말 중에 ‘죽을 맛이다’ ‘살 맛 난다’라는 표현, 사람의 성격을 ‘싱거운 놈, 매운 놈’이라고 하는 말들을 분석하던 지혜로움, 짜고 달고 시고 맵고 쓴 다섯 가지 맛 외에도 ‘밍밍하고 슴슴하다’는 라는 말까지…. 그만의 해학적인 한국인에 대한 철학이 매우 흥미롭다. 된장과 고추장처럼 곰팡이를 피워 띄우고, 식혜와 김치는 한국인의 삭혀 먹는 음식문화로 멋지게 파헤치는 삶의 철학. 한자 ‘어질 인’을 ‘사이좋게 놀아라’라고 해석하면서 당파싸움 좋아하는 어리석은 국민인 우리에게 따끔하게 일침을 놓기도 한다. 감성과 지성의 아이큐로 살아가란다.   또 초대 문화부 장관을 맡아 귀여운 호돌이 상징 마크와 함께 알려진 자랑스러운 88올림픽을 기획했던 분이 아닌가. 한국종합예술학교를 세우게 하여 수많은 한국의 예술인들을 발굴하고 키워낼 수 있도록 무진 애를 썼다. 지금의 한류 열풍 바람을 일으키게 하는 단단한 기초를 마련해 놓은 어른이었다.   그리고 이어령 교수는 11살에 어머니를 여의었다니 어린 시절이 얼마나 외로웠을까. 아마도 그래서 그는 어린 시절부터 벌써 철학적인 삶을 논하는 멋진 시인이 되었는지도 모른다. 아무튼 보통사람은 아니었다. 1년 전에는 ‘영원한 제국’을 집필한 소설가 이인화 교수에게 평전을 부탁하여 완성했기에 곧 출간 될 예정이라 한다. 또 그의 유고작들이 지금 출판사에서 줄줄이 출간될 예정이라니 반갑다.   아쉬움이라면 생전에 아버지로서 젊은 딸의 이혼과 죽음의 아픔을 가슴에 새겼던 일은 그에게 가장 큰 상처가 아니었을까. 딸의 10주기 맞아 준비한 그의 시집에서 미국에 사는 딸을 그리워하며 쓴 시를 읽으면 참 허탈하고 눈시울이 찡, 뜨거워진다.   누구나 그러하듯이 이어령 교수는 고해바다 같은 생사고락을 넘어 심오한 종교적인 의미까지 통달해 버리고 마침내 기독교인이 되었다. 부디 천국에서만 영생하지 말고 다음 생애가 있다면 또 한국인으로 태어나 대한민국에 오시기를 바란다. 최미자 / 수필가수필 이어령 교수 이화여대 석좌교수 강인숙 교수

2022-04-2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